전병헌 의원 “질병관리본부 보고서에 중국 환자 웬말“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MERS) 환자 확산 사태를 놓고 질병관리본부의 대처 능력이 계속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달 22일에 메르스 첫 환자가 확진되었다. 20일 질병관리본부는 브리핑을 통해 일반 국민에게 전파 가능성이 없다고 확인했다.
첫 환자의 확진이 늦어진 것도 질병관리본부의 검사 지체가 주 원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모대학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메르스 검사가 이틀 정도로 늦어지면서 첫 확진 환자를 통한 감염이 이뤄진 것으로 본다”고 지적했다.
22일에 메르스 2차 감염 환자가 확진되었다. 같은 날 질병관리본부는 중동 이외 국가에서 메르스 환자가 가족, 의료진이외에 지역사회로 확산된 적 없다고 이야기했다.
25일에는 환자의 딸이 자진 격리를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보건 당국이 이를 거부하고 되돌려 보냈다.
26일과 27일에 환자의 딸 등 메르스에 감염된 4번째, 5번째 환자가 확진이 되었다.
그런데 27일 보건 당국은 메르스 5번째 환자의 감염은 우연일 뿐이라고 대응했다.
28일과 29일에 중국으로 건너간 아들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7명의 메르스 환자가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29일에 정부 당국은 메르스가 확산하고 있지만, 방역 목표의 실패는 아니라고 이야기 했다.
31일 3명의 의심 환자가 추가로 확진되었고, 오늘(6월 1일) 3명의 의심환자가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오늘까지 모두 18명으로 늘어났다.
지난 31일 보건복지부 문형표 장관은 뒤늦게 민관 합동 브리핑을 가진 자리에서 "메르스의 전파력에 대한 판단과 최초 환자에 대한 접촉자 그룹의 일부 누락 등으로 인해서 국민 여러분께 심려와 불안을 끼친 점에 대해 사과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잇따른 부실한 대처로 이미 국민들의 불안감은 최고조로 달한 상태였다.
지난달 31일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국회의원들은 질병관리본부에서 보고를 받았다. 여기서 잘병관리본부에서 내놓은 보고서가 논란이 되고 있다.
'중동호흡기증후군의 해외 발생 현황' 보고서의 아시아 국가 발생 현황에는 모두 15명으로 한국 14명, 중국 1명으로 돼 있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방역관리를 제대로 못해서 중국으로 출국하게 방치한 남자를 '중국 환자 1명'으로 분류를 한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 전병헌 의원은 1일 열린 당내 최고위원 회의에서 "아무리 발병이 속지주의를 원칙이라고 하지만 이것은 양심불량"이라며 "이런 식이라면 메르스를 중국에 수출한 것을 자인한 꼴로, 이와 같은 안일하고 무책임한 태도가 메르스를 더욱 더 확산시키고, 방치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하게 분노했다.
전 의원은 "엄정한 조치가 필요한 대상은 국민이 아니라 허점투성이 초동 대응으로 국민건강을 위협한 보건당국과 보건복지부 장관이라는 점을 정부당국은 알아야 한다"며 "특히 복지부 장관은 사태가 수습 되는대로 알아서 자진 사퇴해야 마땅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9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