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C형간염 바이러스 노출시 70% 이상 만성 진행...증상 없어

건강 경보

by 현대건강신문 2015. 11. 26. 18:39

본문

문신 시술이나 손톱깍기, 면도기, 칫솔 등 통해서 감염될 수 있어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서울 양천구 신정동의 다나의원에서 C형간염 환자가 집단발생하면서 C형 간염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C형간염은 C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이 정상인의 상처난 피부나 점막을 통해 전염되는 일종의 감염병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 국민의 약 1%가 C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로 추정된다.

특히 전체 만성 간질환 환자의 약 10~15%가 C형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C형간염은 노출 된 경우 70~80%가 만성간염으로 진행하고, 적절한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 이중 30~40% 정도가 간경변증, 간암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예방 뿐아니라 감염자에 대한 적절한 진단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C형간염은 감염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소수의 환자에서는 피로감, 열감, 근육통, 소화불량, 우상복부 불쾌감, 황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C형간염 환자는 검사를 받기 전에는 모르고 지내다가 20~30년이 지나서 만성 간염이나 간경변증, 간암 등의 소견으로 뒤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C형간염의 진단은 혈액 검사를 통해 C형간염 바이러스 항체를 검출하거나 혹은 C형 간염 바이러스를 직접 확인하는 HCV RNA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특히 C형간염은 예방이 최선이기 때문에 감염 경로를 차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회식자리에서 잔 돌리기나 WL개를 같이 먹는 행동은 C형간염 감염과 큰 관계가 없다. 하지만 주삿바늘은 반드시 일회용을 사용하고, 문신을 하거나 침을 놓을 때는 반드시 소독된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개인이 쓰는 손톱깍이나 면도기 칫솔로도 옮을 수 있다.

대한간학회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C형간염 검사를 해보아야 할 고위험 군으로 1992년 이전 수혈이나 장기이식을 받은 경우, 정맥주사 약물남용자, 혈액투석 환자, HIV 감염자, 한센병, HCV 감염 산보에서 태어난 아이, HCV 양성인 혈액에 오염된 주삿바늘에 찔리거나 점막이 노출된 보건의료 종사자, C형간염 환자와 성관계 접촉력이 있는 경우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32956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