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전국의 의료취약지 보건소나 중소도시 공공의료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공중보건의사(공보의)가 기본적인 진료 외에 건강예방사업 등으로 업무가 늘고 있지만 적절한 운용 체계가 미흡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의학전문대학원 제도가 시행된 이후 공보의가 매년 줄어들고 있지만 공보의를 통해 의료 공백을 메우고 있는 전국 지자체들은 비용을 이유로 인원 충원에 소극적이어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고 있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대공협) 김재림 회장은 18일 서울 이촌동 대한의사협회회관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공보의 수 감소에 따른 업무 조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대공협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6년 5월 현재 전국 12개 시도, 153개 시군구의 보건소에 배치된 공중보건의사는 1,573명으로 각 시군구별로 평균 10.3명이다.
이번 조사를 보면 153개 시군구 중 74곳에서 공보의의 업무량이 증가했는데 전라북도가 최고를 기록하고 다음으로 △경기도 △충북 △경남 순으로 업무가 많았다.
A시의 경우 2년 전 공보의가 11명이었지만 현재는 8명으로 줄어 공보의 한 명의 출장 진료를 위한 이동거리가 회당 평균 6,70km에 육박했지만 의료 인력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관리의사의 충원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대공협 김재림 회장은 "각 시군구는 공보의가 줄어들었지만 실적 등을 이유로 보건사업, 진료 규모를 그대로 유지하고 공보의를 출장·순회 진료 형태로 무리하게 운영해 업무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무 가중과 더불어 업무 규정 미비로 공보의의 활동이 위축될 수 있다고 지적한 김재림 회장은 "보건복지부는 전체 공보의의 인원 변화와 시군구에 배치 현황은 파악하겠지만 실제 운용 내용을 알기 어렵다"며 "진료 범위 등 업무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없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공협은 6월쯤 복지부와 간담회를 갖고 업무 증가에 따른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http://hnews.kr/news/view.php?no=35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