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광주·경북·강원, 암 환자 수술대기 기간 증가

by 현대건강신문 2018. 10. 22. 08:22

본문

2주 이후 수술환자 사망위험률 최대 2.6배까지 높아져


김상희 의원 “대기기간 줄일 수 있는 방안 마련해야”


[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암 진단 이후 수술까지 대기하는 기간이 1달 이상인 위암 환자가 2013년 27%에서 2017년 37%로 증가해, 암환자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상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 달이 지나 수술을 받은 위암 환자가 2007년 36%에서 2013년 27%로 감소하였지만 작년에는 다시 37%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지역별로 분석해 보면, 특히 광주, 전남, 경북, 강원 등 지역이 최근 몇 년 사이 ‘한 달 이상 대기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형병원 위주의 수도권 쏠림현상과 연관되어 있다는 지적 또한 나오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영국과 캐나다 등 해외의 경우 2000년대 초반부터 이러한 쏠림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국가암 계획을 수립하였고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영국은 2018년 2월 기준 암환자의 97.6%가 치료 결정 후 31일 이내에 치료 받았다는 사실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꾸준한 모니터링과 암환자의 치료까지의 대기기간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역시 지역암센터가 존재하고 생긴 지 10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수도권 쏠림 현상과 환자 대시기간을 줄이지 못하고 있다. 


암센터는 지난 2010년부터 전국 14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위암환자 코호트 연구’를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자료만 축적되었을 뿐, 이 자료를 전혀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김상희 의원은 “우리나라의 암 생존율이 70%에 이르고 있지만 선진국처럼 암환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고 있는 지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는 부재하다”고 말하며 “현재 암환자 등록사업이 존재하지만 암진단 환자를 등록하고 완치 일자 혹은 사망 일자를 체크하는 것이 전부이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우리나라도 암환자들의 통증과 불안을 해소하고 수술 대기기간을 파악해, 기간을 줄여나갈 수 있는 대책 방안이 필요하다”며“권역별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을 국립암센터와 복지부가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