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국립중앙의료원을 서초구 원지동으로 신축·이전하는 작업에 속도가 날 전망이다. 정부는 국립중앙의료원을 2018년까지 원지동 부지에 약 700병상을 신축·이전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토지보상비 문제와 의료 공백을 우려한 주민 반대로 사업 진행에 속도가 나지 않는 상황이었다.
4일 보건복지부와 서울시가 정부 서울청사에서 국립중앙의료원 현대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복지부와 서울시는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후 주변 지역의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고 현재 을지로 부지에 서울시의 공공의료원인 서울의료원 분원 형태로 200병상 규모의 새병원을 건설해 의료취약계층에 대한 공공의료기능은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문형표 복지부 장관은 “국립중앙의료원은 우리나라의 대표 공공기관으로 역할을 수행하는데, 중증환자의 접근성과 물리적 제안 등으로 인해서 그 위상이 과거에 비해서 위축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공공의료 강화라는 시대적 사명에 부응할 수 있도록 공익적 기능 수행을 강화해 나가고, 시설이나 장비 등 인프라의 현대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복지부가 올해 초 사업 초기비용으로 165억 원의 신규예산을 확보해서 현 을지로 부지에서 서초구 원지동 부지로 신축·이전하는 국립중앙의료원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
문 장관은 “현대화 사업을 통해서 낙후된 시설장비 보강은 물론, 중증외상체계의 구축, 글로벌 현안의료의 대응과 고도격리병상 및 BL4 실험실을 갖춘 감염병 관리의 선진화, 그리고 중장기적으로 취약지 및 취약 분야에 대한 공공보건의료 인력 양성 등을 통해서 공공의료 체계의 선진화를 도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립중앙의료원의 원지동 이전 후 을지로 부지에는 200병상 규모의 서울의료원 분원이 새로 건립된다.
신설되는 서울의료원 분원은 운영은 서울시가 맡지만 투입되는 초기 장비구입비와 시설투자비는 복지부가 전액 지원하고 의료인력 조달과 공공보건프로그램 사업도 복지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또한 국립중앙의료원이 이전하는 서울시 소유의 원지동 부지의 매매가격은 복지부가 확보한 예산인 900억원 이내에서 관련 법령을 근거로 감정평가를 시행해 결정하기로 최종 합의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어고, 논쟁도 있었다. 그렇지만 오늘 그런 것들이 말끔히 정리되고, 상생의 MOU를 체결하게 되어서 너무 기쁜 마음”이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국립중앙의료원이 명실상부한 국가 공공의료기관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이후에도 도심의 의료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을지로 부지에 공공의료시설 약 200병상 규모와 또 장례식장을 포함한 이런 시설을 설치·운영해서 지역 주민과 의료 취약계층에 대한 도심권 공공의료 기능이 계속 유지되도록 우리들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5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