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궤양성 대장염·크론병·베체트병....난치성 장 질환

건강

by 현대건강신문 2014. 9. 18. 19:46

본문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4334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장의 만성 염증성 질환
 
[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 및 베체트병은 장에 생기는 심각한 만성 염증으로서 증상, 병의경과 및 치료 방법 등이 비슷하기 때문에 이들 질환을 총칭하여 염증성 장질환이라 부른다. 장염이란 장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한다.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 및 베체트병 등의 염증성 장질환은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장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세균 또는 바이러스에 의하여 유발되는 장염은 대부분이 일시적인 염증이므로 염증성 장질환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아직까지 만성 염증성 장질환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완치에 이르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병의 경과에 미치는 인자에 대해서는 상당한 연구가 진척되고 있으며 염증을 가라앉히기 위한 여러 가지의 약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궤양성 대장염 - 궤양성 대장염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대장에만 문제를 일으키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궤양성 대장염에서 염증이 있는 부위는 연속된다. 연속된다는 것은 염증이있는 부위가 몇 군데에 떨어져 있는 경우는 없고 염증 부위의 범위가 크든 작든 모두 이어져 있다는 뜻이다. 거의 모든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서 직장에는 염증이 있으며 약반수의 환자에서는 직장부터 S 상 결장까지, 1/4 은 직장부터 S 상 결장과 왼쪽 대장까지 나머지 1/4 은 직장으로부터 횡행 결장 또는 오른쪽 대장에 이르기까지 병변이 존재한다.
 
장의 벽은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및 장막층 등 4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궤양성 대장염은 장의 내부를 감싸고 있는 점막층에 염증이 생긴 상태로 심한 경우에는 대장에 궤양이 유발된다. 궤양성 대장염을 앓는 환자는 설사, 혈변, 복통 등을 호소하는데 식욕 감퇴, 체중 감소, 피로감 등도 비교적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때로는 장 이외에 관절, 눈, 피부, 간,신장 등에 이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은 환자에 따라 그 정도가 매우 다양하여 응급수술이 필요할 정도로 심각한 예도 있는가 하면 어떤 경우에는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기도 한다.
 
궤양성 대장염은 서서히 시작하기도 하고 때로는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증상이 심하다가 덜하다가 하기를 반복하며 때로는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증상이 없는 시기가 있기도 한다.
 
크론병 -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에만 염증이 발생하는데 반하여 크론병은 입으로부터 항문에 이르기까지 소화관 전체에 염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 염증이 있는 부위가 연속되지 않고 여러곳에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약 1/3 의 환자에서는 소장에만 염증이 있으며 1/3 에서는 대장에만 그리고 나머지 1/3 에서는 대장과 소장 양쪽에 만성 염증이 발생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소장의 끝과 대장이 만나는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궤양성 대장염에서는 장의 점막층에만 염증이 생기는데 반하여 크론병에서는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및 장막층 등 장벽의 전층을 침범하는 염증 반응이 특징이다.
 
설사, 복통, 식욕 감퇴, 미열 등이 크론병에서 흔히 보이는 증상이며 관절, 눈, 피부, 간,신장 등의 장외 증상도 비교적 자주 나타난다. 궤양성 대장염과 마찬가지로 증상의 종류와 정도는 환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증상은 서서히 나타나기도 하고 때로는 급속히 진전하기도 한다. 그러나 궤양성 대장염에 비하여 환자가 느끼는 괴로움이 더 심한 예가 많으며 장기적인 경과와 치료에 대한 반응도 더 나빠서 수술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많다.
 
베체트병-베체트병은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전신질환으로 피부, 점막, 눈, 장, 관절, 비뇨생식기 및신경계 등의 여러 장기를 침범한다. 베체트병의 원인과 발생과정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베체트병의 특징적인 검사소견은 없으므로 임상적인 소견에 의거하여 진단한다.
 
임상적인 소견은 흔히 침범하는 부위에 따라 주 증상과 부 증상으로 나눈다. 반복적인 구내 궤양, 피부 증상, 눈의 증상, 생식기 궤양 등이 주 증상이고 부 증상으로 관절염, 소화관의 궤양, 부고환염, 혈관 병변, 중추신경계 증상 등을 들 수 있다. 주 증상 네 가지가 모두 있으면 완전형 베체트병이라 하고 주 증상 세 가지 또는 주 증상 두 가지와 두 가지의 부 증상이 있는 경우 불완전형 베체트병이라 분류한다.
 
베체트병 환자의 3-5%에서 소장 또는 대장의 이상이 동반되는데 소장의 끝과 대장이 연결되는 부위에 가장 흔히 문제가 발생한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