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최근에 시군에서 공공장례식장을 건립하겠다고 하는 법안이 올라왔는데 정부가 동의해주었다. 그런데 공공산후조리원 건립에는 반대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야당 간사인 김성주 의원(오른쪽 사진)은 1일 열린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회의에서 이같이 말하며 '요람에서 무덤까지' 공공의 개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법안심의에 참여하고 있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성주 의원은 "죽을 때는 편안하게 돌봐주는데 태어나는 것은 개인이 엄마가 알아서 집에서 돌보라는 논리"라며 "태어나서 보살펴 주지 않고 죽어서 보살펴 준다고 하면 그동안 해준 것이 없으니 잘 갈 수 있도록 국가가 나서주겠다는 것이냐"며 정부의 행태를 지적했다.
심각한 저출산 사회에서 산모와 신생아를 돌보기 위한 산후조리원을 2주 남짓 하는데 220만 원 정도가 든다.
이미 산모들의 절반 정도가 산후조리원을 이용하고 있다.
높은 비용부담과 감염우려를 줄이기 위해서 지자체들이 공공산후조리원을 설립하겠다는데 정부가 막고 있는 상황이다.
김 의원은 "정부의 논리면 집에서 아이를 키워야 한다는 것"이라며 "그렇다면 도대체 정부가 해야 되는 일은 무엇이고 지자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고 공공장례식장은 되고 공공산후조리원은 안되고 박근혜 정부는 청개구리 정부"라고 지적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33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