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춘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워장인 의사봉을 들고 있다. 김 위원장은 오전 11시 경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과 청와대 관계자의 증인 출석 문제를 놓고 여야 간사간 논의를 위해 정회한다"고 밝혔다.
여당 "이 정도면 규명할만큼 했다"
야당 "청와대 증인 출석 없이 국감 불필요"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21일 국회서 열린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국정감사가 결국 여야간 합의 불발로 정회됐다.
이날 여야간 충돌은 예견되었다.
여야는 국정감사 기간 동안 메르스 감사를 하기로 합의했지만 구체적인 증인 출석 문제를 놓고 지리한 갈등을 이어갔다.
야당은 청와대 등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밝혀내기 위해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 최원영 청와대 고용복지수석, 김진수 청와대 비선관의 출석을 요구했지만 여당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여당인 새누리당은 메르스 특위 등에서 진상 규명이 진행된 상황에서 불필요한 논의 보다 후속 대책 마련에 주력하자는 입장이었고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은 정확한 사태 진단이 필요하지만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한 청와대의 행보에 대한 명확한 규명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입장이었다.
지난주 여야 간사는 문형표 전 장관의 출석을 합의했지만 최원영 전 청와대 고용복지수석과 청와대 김진수 비서관의 출석은 합의하지 못했다.
결국 21일 열린 국감에서 야당 간사인 김성주 의원은 "메르스 사태를 진단한 특위의 보고서를 살펴보면 원인이 두리뭉실하다"며 "구체적으로 무엇을 잘못했는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의료선진국인 한국이 메르스에 속절없이 무너진 이유를 전 국민이 궁금해하고 있는데 그것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도 주무 관계자의 책임지는 모습도 없었다"며 "퇴직한 청와대 수석도 불러내지 못하는 여당은 책임이 크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여당 간사인 이명수 의원은 "(메르스 사태시) 청와대의 역할을 규명했고 어디까지 규명해야 하느냐"고 반문하며 "제대로 된 대책을 추진하는지 (국감을 통해)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여야 의원들도 의사진행 발연을 통해 팽팽한 기싸움을 이어가자 결국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춘진 위원장은 오전 11시 경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과 청와대 관계자의 증인 출석 문제를 놓고 여야 간사간 논의를 위해 정회한다"고 밝혔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31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