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본부 “어떤 요인으로 급속 진행됐는지 정확한 정보 없어”
[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보건당국의 통제 밖에 있던 메르스 환자가 확진 판정 3만일 만에 사망하면서 정부의 방역관리체계가 또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특히 이 환자는 확진 전까지 스스로 걸어다니 등 기저질환 등도 전혀 없었던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되고 있다.
25일 세종청사 열린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의 브리핑에서는 확진 3일만에 사망한 173번 확진자가 논란이 됐다.
특히 확진 전까지 비교적 건강한 상황으로 기저질환도 없었던 환자가 확진 3일만에 사망한 것은 물론, 이 환자가 정부의 방역망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었다는 것이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장은 “어떤 요인으로 진행이 급속히 됐는지에 대해 정확한 정보가 없다”며 “다만 확진 판정을 받고 입원했을 때 폐렴이 확인이 됐는데 이것이 급속히 진행되면서 24일 사망했다”고 밝혔다.
이어 “아직 정확한 사인이나 임상경과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가 되지 않았다”며 “임상연구를 통해 이런 특성에 대한 분석은 해봐야 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한편, 요양보호사였던 173번 확진자는 메르스 증상이 발현된 10~18일 9일동안 보건당국의 통제가 없는 상태에서 강동성심병원 등 4곳의 병원과 한의원 1곳, 4곳의 약국 등 서울 강동구 일대의 의료기관을 잇따라 방문해 집단감염의 가능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정 센터장은 “(173번 확진자와 관련해) 현재까지 한 2135명 정도가 접촉자로 분류가 돼서 자가격리 또는 능동감시로 분류해 관리에 일단 들어가고 있는 상황”이라며 “의심이 되면 조기에 신고해서 조금이라도 빨리 치료가 들어가는 게 아무 이런 중증화나 추가 전파 확산을 막는 것이기 때문에 의심되는 의료기관을 다녀갔거나 아니면 확진환자하고 접촉을 했는데 이런 유증상이 있을 경우 반드시 빨리 보건소에 신고를 해 달라”고 당부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3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