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조셉 프롭스트 오스트리아 사회보장기구 사무총장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보건의료 빅데이터는 궁극적으로 환자 치료에 기여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아야 한다"
15일 서울 반포동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보편적 건강보장을 위한 국제회의'에서는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어떻게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정보통신기술(ICT) 및 빅데이터(Big Data)를 활용한 보건의료시스템 구현'을 주제로 열린 심포지엄에서 이태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정보융합실장은 ICT를 활용한 보건의료 자료의 이용에 대한 발표를 했다.
발표가 끝난 뒤 서울 한 종합병원 관계자라고 밝힌 한 청중은 "병원에서 많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지만 피드백(Feed Back)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다른 병원과 비교할 자료를 원하는데 이런 자료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고 질문했다.
이태선 실장은 개인정보보호법이 강력해 정보 제공에 한계가 있다는 애로점을 밝혔다.
이 실장은 "민감한 개인정보가 많고 이 자료를 무제한으로 비교하면 영업정보일 수 있어 가급적이면 데이터 보호 측면에서 노력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보 가치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심포지엄 좌장을 맡은 조셉 프롭스트 오스트리아 사회보장기구 사무총장(Josef Probst Director General, Main Association of Austrian Social Security Institutions, Austria)도 "피드백이 안 되고 있다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현대건강신문>은 프롭스트 사무총장을 만나 빅데이터 활용 방안과 급증하는 의료비 등 보건의료 현안에 대한 생각을 들어봤다.
프롭스트 사무총장은 빅데이터 이용 수준을 단계별로 구분하며 △빅데이터를 이용해 보험료를 잘 관리하고 운영하는 단계 △환자 진료시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활용해 치료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단계로 구분했다.
▲ 그는 빅데이터가 의료산업에 도움을 줘야 한다는 일부의 시각과 달리 "전략적으로 빅데이터 운영을 위한 자금이 모아지더라도 의료기관에 쓰이는 것이 아니라 환자에게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실제 환자가 의사를 방문할 경우 빅데이터를 치료에 활용하고 환자 패턴을 효과적으로 분석해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럴 때도 활용할 수 있어야 진짜 빅데이터가 보건의료에 기여한다고 말할 수 있다"고 했다.
"(빅데이터는) 환자에게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할 때 질을 높이는데 사용되고 의사가 치료시 결정을 할때에도 (빅데이터가) 도움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빅데이터가 의료산업에 도움을 줘야 한다는 일부의 시각과 달리 "전략적으로 빅데이터 운영을 위한 자금이 모아지더라도 의료기관에 쓰이는 것이 아니라 환자에게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에서도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높은 의료비 본인부담금 △비급여진료 증가 △건강보험 국고 지원 등에 대한 생각도 물었다.
오스트리아의 경우 개인 급여의 2%가 넘는 의료비는 개인이 부담하지 않는다. 특히 빈곤층의 경우 의료비 부담이 전혀 없다.
그는 "본인부담금은 법적으로 상한선을 두고 있어 문제가 없다"며 "오스트리아에서도 (병의원들이) 이익을 높이기 위해서 비급여를 받으라고 푸쉬(push)하며 이득을 얻으려고 한다. 필수적인 서비스는 보험 적용이 되도록 하고 요양기관(병의원)이 보험되는 서비스에 집중 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건강보험 재정을 보험료만으로 운영하고 있는 오스트리아도 세계 각국과 마찬가지로 의료비 급증으로 인한 재정 고갈에 직면해 있다.
건강보험 재정의 안정화를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그는 "(오스트리아도) GDP가 내려가고 있어 다른 재정 운영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 생산성이 중요하고 사회가 평등해야, 구성원이 평등하게 생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한 포인트"라며 "평등한 사회를 만들겠다는 사회 철학에 따라 이(건강보험 재정) 논의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33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