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항석 교수 "과진단 공감하지만 수술하지 말라는 메시지 줘선 안 돼"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최근 갑상선암 환자가 급증하면서 불거진 '과진단(over diagnosis)' 논란을 풀기 위한 자리가 마련되었다.
지난해 안형식 고려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2012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통해 산출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1993년에 비해 2011년 갑상선암이 15배 이상 증가한 이유로 '조기검진이 원인'이라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해 NEJM에 소개됐다.
안 교수의 논문 내용이 알려지자 불필요한 조기검진으로 인해 갑상선암이 증가했다는 일부 보도가 나가기 시작했고 의료 현장에서는 일대 혼란이 일어났다.
안 교수는 "한국의 과진단 문제는 세계 어느 나라 보다 심각하다"며 "디스크 등 일부 질환은 이미 우려할 수준"이라고 말했다.
반면 연세대암병원 감상선암센터장 장항석 교수는 "조기진단 논란으로 10년전 수술 받은 환자까지 병원으로 와서 항의를 했다"며 "이 같은 논란으로 치료받아야할 환자들까지 수술을 기피하는 현상이 벌어져 안타깝다"고 말했다.
'과진단'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17일 서울 필동 남산스퀘어빌딩에서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주최로 열린 포럼에 논란의 상대가 되는 안형식 교수와 장항석 교수가 한자리에서 만났다.
다음은 안 교수와 장 교수의 '과진단 논란'에 대한 주요 발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과진단 문제 세계 어느 나라보다 심각"
안형식 고려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과진단(over diagnosis)에 대해 생각한 것은 3,4년이 됐다. 과진단은 증상이 없거나 불편하지 않고 사망을 초래하지 않는 질병을 진단하는 것이다.
치료를 하면 이익(benefit)과 손해(harm)가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치료시 이익이 클 경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손해도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 문제는 동전의 앞뒷면과 같아 논쟁거리가 될 수 있다.
미국에는 유방암, 흑색종, 갑상선암, 신장, 간의 경우 과진단 우려가 있는 항목으로 보고 그 추이를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다.
문제는 과진단의 입증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10-20년간 추적 조사해야 하고 진단한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 진단하고 수술한 환자 진단하고 수술하지 않은 환자 등으로 나눠 조사를 진행해야해 쉽지 않다.
그래서 과진단도 심각하지만 이를 입증하는 것도 심각한 문제이다.
혈압, 혈당, 골다공증의 치료 가이드라인이 있다. 고혈압, 당뇨 등이 발생할 경우 ‘약 복용 시점’을 누가 정하는지 살펴봐야 한다.
국내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정한다고 말하지만 근원을 살펴보면 미국의 가이드라인에서 결정된다. 그런데 미국 가이드라인은 누가 정하는지 그것을 살펴봐야 한다.
예를 들어 고혈압 약제를 사용해 혈압을 내릴 경우를 살펴보자. 혈압이 180인 사람과 140인 사람에게 고혈압 약을 먹일 경우 이득이 다르다.
혈압이 180인 사람 100명에게 약을 먹이면 절반 정도가 혈압이 감소한다. 하지만 혈압이 140인 사람에게 약을 먹이면 그 효과가 다르다. 하지만 부작용은 똑같이 나타난다.
사실 우리나라의 과진단 문제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심각하다. 특히 디스크, 일부 치료제 등의 분야는 10-15년 사이에 심각한 상황이다.
"치료받아야할 사람들도 우왕좌왕해 문제"
- 장항석 연세대암병원 갑상선암센터 장항석 교수
최근 200%가 넘는 놀라운 증가율을 보이는 것이 갑상선암이다. 사망률은 요지부동인데 과잉진단이 심각하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여러 종류의 갑상선암이 있지만 그 중에 유두상갑상선암이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다. 유두상갑상선암은 초음파 검사로 진단이 가능하다. 이 암이 증가한 것은 초음파를 많이 썼기 때문이다.
논란의 중심에 '갑상선암'이 심각하지 않다는 주장이 나오는데, 저는 수련 기간 동안 암이 심각하다고 교육을 받아왔다.
손으로 목의 혹을 진단할 때만 해도 작은 것들은 진단할 수 없었지만 초음파가 생겨난 뒤 1cm 미만의 것들도 진단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증상이 있으면 검사를 하라고 하는데 갑상선암은 증상이 없다. 증상이 생기면 이미 '사단'이 난 것이다.
교육받은 대로 근거 있게 치료했지만 (논란이 발생한 뒤) 10년전 수술한 사람에게서 항의를 받았다.
일부에서 피곤한 것이 증상이라고 하는데 갑상선암의 증상은 피곤한 것이 아니다.
미국 조사결과 다른 이유로 사망한 시체의 부검을 해보니 갑상선암이 발견된 경우도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
미국의 갑상선암 가이드를 적용할 수 있는 범위도 30% 정도에 불과하다. 결코 얕잡아볼 증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임상의사로 우려하는 부분은 진단에 대한 문제는 공감하지만 이것이 수술을 하지 말라는 것으로 연결이 되기 때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논란이 발생한 뒤에도 초음파 검사량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지만 수술 건수가 급격히 줄었다.
기다려야 하는 사람도 있지만 기다리지 말고 치료를 해야 하는 사람들도 여기에 합류에 우왕좌왕하고 있다.
교통사고를 우려해 경부고속도로를 폐쇄해야 한다는 논리가 횡행하고 있는 것이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8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