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안전문화 잘 형성돼 미인증 의료기관 보다 안전"
인증원, 의료기관 종사자 환자안전문화 인식 조사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인증 받은 병원이 미인증 병원보다 환자안전문화가 잘 형성돼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증 병원이 더욱 안전할 것으로 본다"
환자안전을 위해 의료기관 인증평가제를 운영한지 5년이 지났다. 상급종합병원, 요양병원, 정신병원은 의무적으로 인증을 받아야 한다.
올 해부터 수련병원이 되기 위한 자격 중 하나가 의료기관인증 통과이다.
2015년 현재 의료기관 인증평가를 받은 병원은 △상급종합병원 43개(100%) △연구중심병원 10개(100%) △전문병원 111개(100%) △수련병원 153개(67%), 완화의료전문병원 37개(66%) 등이다.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의평원) 석승한 원장은 21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병원에서 인증을 많이 받아야하는데 병원급 의료기관의 인증율은 종합병원 40%, 병원은 10% 밖에 안 돼 아쉽다"며 "병원급 의료기관의 인증 확대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석 원장은 평가인증을 받는 병원이 늘어나는 것은 고무적인 현상이지만 인증 이후, 환자안전도가 늘어났다는 지표를 확인할 수 없어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의평원은 이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난해 9월, 10월 2달간 인증받은 병원과 미인증 병원에서 근무하는 2년차 이상 의사, 간호사, 약사 등 의료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 인식'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결과 환자안전문화는 인증 병원이 미인증 병원보다 잘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증 병원은 미인증 병원보다 환자안전 △정책 △절차 △부서 간의 협조가 잘 마련돼 있고 환자안전을 위한 경영진의 지원이 잘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석승한 원장은 "의료기관인증제가 환자안전문화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며 “조사결과 환자안전문화가 잘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증 의료기관이 더욱 안전할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석 원장은 "의료기관인증제가 환자안전문화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며 “조사결과 환자안전문화가 잘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증 의료기관이 더욱 안전할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결과 △환자안전을 위한 충분한 인력 배치 △의료종사자 실수나 오류시 처벌받지 않는 문화 정립 등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환자안전을 위해서 의료 인력 배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미국 조사 결과의 절반에 불과했고 의료적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처벌 받을 것이라는 인식이 팽배해 있었다.
석 원장은 "의료적 오류시 처벌 가능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는데 환자안전법 시행을 앞두고 자율적으로 (의료적 오류를) 보고할 수 있는 문화가 필요한데 개인에 대한 책임보다 안전한 시스템을 만들어가야 한다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석 원장은 "지금은 인증받은 병원과 미인증 병원의 인식차를 조사하는 수준이지만 (환자안전을 위한) 실질적인 수행도를 비교해보면 큰 차이가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인증 유무에 다른 실질적 차이가 있는지 지속적으로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33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