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3천5백억원의 예산을 집행하며 식품과 의약품 안전을 담당하는 정부기관인 식약처가 식품안전 기준 논란의 중심에 서서 관련 산업을 멍들게 하고 국민을 불안하게 하는 일이 더 이상 없어야 합니다"
이에 대해 김춘진 위원장은 "식약처는 다양한 조기경보 시스템을 마련했지만 눈에 보이는 시스템보다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국민들과 관련 산업체들의 신뢰"라며 "식품 위해성 논란 사건 하나로, 식약처의 연간 예산을 넘어서는 규모의 관련 산업 피해와 국민들의 혼란으로 인한 사회적 누수 비용을 조속히 막는 것이 급선무"라고 주문했다.
국내서 판매되는 영유아용 분유 모든 제품 나트륨 초과 (0) | 2014.10.08 |
---|---|
술파는 키즈카페?...위생상태도 엉망 (0) | 2014.10.08 |
사망 위험 있는 식품알레르기 '관리 소홀' (0) | 2014.10.07 |
"일본 물품 방사능 위험 여전한데 '웬 수입재개'" (0) | 2014.10.06 |
후쿠시마산 사케, 방사능 위험에도 국내 수입 (0) | 2014.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