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기자회견 이후 연이어 '의료기기 사용' 당위성 강조
의사협회 회장 내일 '반대' 기자회견 후 단식 들어가
의료계 인사 "국민 불안감 증폭, 복지부 중재해야"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을 놓고 대한한의사협회와 대한의사협회가 '치킨게임'에 들어간 형국이다.
두 직역단체와 주변단체들은 성명서를 앞다투어 내며 한치에 양보도 하지 않고 있다.
19일 한의사협회는 의사협회가 의과대학 교수들의 한의과대학 출강 전면 금지를 추진하려는 움직임임을 보이자 "국민건강을 볼모로 한 비열한 행태"라고 강력히 비난했다.
최근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대한의사협회는 '의과대학 소속 교수들의 한의과대학 출강이 한의사 의료기기 사용의 근거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판단아래 조만간 전국 의과대학에 한의과대학 출강 자제를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할 계획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하여 한의사협회는 “의사협회가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을 억지로 막기 위하여 순수한 목적의 교육을 자신들의 이익만을 위해 악용하려는 무리수를 두고 있다”고 지적하고 “의사협회의 이와 같은 행태는 ‘나 아니면 안된다’는 직역이기주의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으로 만일 이를 강행한다면 국민과 언론으로부터 비난을 면치 못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의사협회은 지난 17일 의사협회 회관에서 “보건의료 규제기요틴 대응을 위한 범의료계 긴급 연석회의”를 개최하고 보건의료분야 규제기요틴 과제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심각하게 저해하고 의료영리화만을 가속시키는 정책으로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에 견해를 같이 하고 회원들의 의지를 결집시켜 대응해 나가기로 결정하였다고 밝혔다.
의사협회는 20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추무진 회장이 단식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의협은 우선 오는 25일 오후 의협회관 대회의실에서 중앙대의원, 시도 및 시군구 임원, 각 직역 대표자가 참여하는 전국의사대표자대회를 개최하여 대내외에 의료계의 분명한 입장과 의지를 전달하고, 회원들의 관심과 역량을 결집하기로 하였다.
의사들의 모임인 전국의사총연합와 대한의원협회도 성명을 내고 "한의사의 현대의료기기 사용은 의료인 면허제도의 근간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한의사란 명칭에 ‘의사’가 들어 있다고 해서 한의사를 의사의 한 종류로 봐서는 절대 안 된다"고 주장했다.
양 직역의 교육 과정을 밟고 있는 학생들의 움직임도 심상치않다.
전국 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학생회연합은 19일 성명을 내고 "정확한 진단을 통하여 질 높은 치료를 제공하는 것은 의료인의 책무"라며 "‘한의사 의료기기 사용’은 한의사들이 국민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발전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근간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의대학생회연합은 2011년 7월에 개정된 한의약육성법에서 '한의학의 과학적 응용·개발'을 명시하고 있음을 부각시키며, 2013년 12월에는 한의사들의 일부 의료기기 사용에 관한 기소유예 처분을 취소한다는 의미 있는 헌법재판소 판결이 이루어진 상황이라고 밝혔다.
대한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도 20일 의사협회 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반대 의견을 밝힐 예정이다.
이렇게 양 직역이 전면적인 대결 양상을 보이자 국민들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한 의료계 인사는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국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질 수 있다"며 "보건복지부가 나서 상황을 수습해야 할 시기"라고 주장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6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