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년 내내 구제역 발생지역 확산...야당 "정부 변명 일관"

정책_건강

by 현대건강신문 2014. 12. 24. 13:40

본문




정치권 한 목소리로 "확산 막을 대책 필요"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1년 내내 발생한 구제역·AI 발생으로 인해 농가의 시름이 깊어가고 있지만 정부는 변명만 일관하고 있다는 주장이 정치권에서 나오고 있다.

구제역이 지난 7월, 3년 만에 다시 발생한데 이어 또다시 12월부터 구제역이 확산조짐을 보이고 있다. 19일 현재 벌써 4번째 구제역이 발생했다.

19일까지 충청도 14개 농장에서 구제역이 발생해 1만5천여 마리의 돼지가 살처분 됐다. 충북 증평에서 조류 인플루엔자까지 발견돼 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방역당국은 축산농가들이 백신접종을 제대로 하지 않아 구제역이 발생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지난 4일과 9일 발생한 진천지역 구제역의 경우 예방백신을 접종한 사실이 드러났다.

AI와 구제역은 바이러스로서 눈에 보이지도 않고 공기를 통해 감염되고 있어서 그 원인을 명확히 파악하기 곤란한 상황이다.

새정치민주연합 한정애 대변인은 21일 "정부는 AI와 구제역 확산원인을 방역하지 않거나 백신접종을 하지 않은 농가책임으로만 돌리고 있어 어안이 벙벙하다"며 "축산 농가들은 이미 여러 번 비용부담, 백신접종 가축의 성장부진 등 구제역 백신접종의 어려움을 정부에 호소한 바 있음에도 이를 외면하고 책임 떠넘기기에만 급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2일 새누리당 박대출 대변인은 "구제역과 AI가 점차 확산되는 추세를 보여 차단방역의 골든타임을 놓친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며 "방역당국은 이러한 우려를 인식해 구제역과 AI의 소독과 그리고 백신접종을 추가 실시하고 방역의 빈틈이 없는지 철저히 점검해달라"고 당부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서영교 의원은 "최근 발생하고 있는 구제역은 백신만 접종하면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생각으로 방역관리에 소홀히 한 정부에 그 책임이 있다"며 "정부는 방역이나 백신접종을 하지 않았다며 농가에 책임을 전가할 것이 아니라 한국형 백신개발, 백신비용 전액국가부담 및 의무접종 등 획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6368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