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한양정형외과서 PRP 주사 맞은 환자 감염
국회 신경림 의원 "국내서 많이 시술되지만 관리 없어"
복지부 차관 "주사제 관리방안 실태 조사 중"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원주 모 의원에서 발생한 자가혈주사시술(PRP) 환자의 C형 간염으로 PRP 주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정부의 PRP 주사 관리에 큰 허점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C형 간염에 감염된 환자를 조사한 원주보건소는 감염자들 모두 PRP 주사를 맞았던 것을 확인하고 원주 한양정형외과의원에서 PRP 주사를 맞은 사람들에 대한 집중 조사에 들어갔다.
보건당국은 PRP 주사제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오염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PRP는 채혈한 혈액의 혈소판을 분리한 뒤 채혈자에게 다시 주입하는 시술로 피부 미용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실제 피부 관련 의학회에서 PRP 기술은 줄기세포 효과를 볼 수 있는 시술로 강의되고 있다.
15일 열린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도 PRP 관리에 대한 우려가 나왔다.
신경림 의원(새누리당)은 "PRP는 신의료기술 평가 대상으로 일부 병원에서만 사용하는 것으로 허가됐지만 많은 병의원에서 (PRP 시술이) 행해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정부의 대처는 너무 늦었다"고 지적했다.
미국은 PRP를 혈액제재로 구분해 PRP 제품은 FDA(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의 규정에 따라 승인 뒤 시판이 가능하다.
신 의원은 "우리나라는 이 시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시술인지, 약제인지 조차 정의내리지 못하고 있다"며 "혈액 성분을 다루는 만큼 감염 문제가 계속 발생할 수 있는데 대책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방문규 차관은 "중요한 제안"이라며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5월까지 실태조사를 진행중으로 조사에 따라서 적정한 권고안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다나의원 C형간염 97명 집단 발생...B형간염도 감염 (0) | 2016.02.28 |
---|---|
7년 전 신종플루로 불렸던 A형 독감 재유행...인플루엔자 비상 (0) | 2016.02.17 |
뇌경색 증상 보이는 젊은 환자, 주 원인은 흡연 (0) | 2016.02.15 |
'변화무쌍' 어린이 시력 12세까지 집중 관리해야 (0) | 2016.02.15 |
원주, C형간염 집단발생...PRP 주사 맞은 927명 검사 (0) | 2016.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