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5816) N
    • 맛집 (2217)
    • 요리 (368)
    • 건강식품 (350)
    • 식품 안전 경보 (65)
    • 건강 경보 (927)
    • 국내 여행 (100)
    • 세계 여행 (40)
    • 건강강좌_행사 (143)
    • 고혈압_당뇨_비만 (203)
    • 암 (198)
    • 건강 (839)
    • 병원_의원 (575)
    • 약_건강 (436)
    • 환경_건강 (1363)
    • 정책_건강 (1046)
    • 운동 (129)
    • 웰빙소비 (372)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고혈압_당뇨_비만

  • 정상 체중이라도 뇌졸중 예방 위해 혈압·혈당 관리해야

    2016.09.20 by 현대건강신문

  •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 기후변화의 2배...대책마련 시급

    2016.09.01 by 현대건강신문

  • "잘못된 체형 인식, 거식증으로 이어져"

    2016.08.25 by 현대건강신문

  • 스마트폰 보며 혈압관리하니 흡연·음주량도 줄어

    2016.07.14 by 현대건강신문

  • 인터넷이 청소년 비만요인?...학년 올라갈수록 비만 위험 증가

    2016.06.28 by 현대건강신문

  • 한국인 비타민D 결핍 환자 4년 간 10배 증가...우유·표고버섯 도움

    2016.06.15 by 현대건강신문

  • 혈당·체중·심혈관계 위험 낮춘 당뇨병 치료제 ‘자디앙’ 출시

    2016.05.24 by 현대건강신문

  • "뚱뚱하면 당뇨 생겨...지방 빼야"

    2016.05.23 by 현대건강신문

정상 체중이라도 뇌졸중 예방 위해 혈압·혈당 관리해야

본문 기타 기능[현대건강신문] 중년여성에서 비만보다 대사증후군이 뇌졸중 유병률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조비룡, 최호천, 서영균(한림대성심병원) 교수팀은 2007년부터 2014년까지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40세 이상 성인 25,744명에 비만 및 대사증후군과 뇌졸중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이 연구결과 40세 이상 여성은 체질량 지수에 의한 단순 비만보다 비만은 없지만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의 뇌졸중 위험이 2배 이상 높게 나왔다고 20일 밝혔다. 대상자 40세 이상 여성 15,098명 중 단순비만(MHO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은 1,867명(12.4%) 이었고, 비만은 아니지만 대사증후군이 있는 여성(MONW)..

고혈압_당뇨_비만 2016. 9. 20. 15:44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 기후변화의 2배...대책마련 시급

본문 기타 기능[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비만으로 인하 한 해 동안 전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직접적인 사회적 부담은 약 2조 달러로 기후변화의 2배에 이른다는 주장이 나왔다. 1일 콘랜드서울호텔에서 열린 ‘대한비만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제2회 국제학술대회 ICOMES' 기자간담회에서 아시아-오세아니아 비만학회(AOASO) 이스마일 누어 회장은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국제학술대회 참가를 위해 방한한 누어 회장은 전세계적으로 흡연, 전쟁이나 테러와 같은 무장 폭려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사회적 부담을 가져온다고 밝혔다. 그는 “비만으로 인해 한 해 동안 전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직접적인 사회적 부담은 약 2조 달러로, 전세계 GDP의 2.8%에 이른다”며 “이것은 기후변..

고혈압_당뇨_비만 2016. 9. 1. 15:07

"잘못된 체형 인식, 거식증으로 이어져"

정상 체중임에도 비만이라는 잘못된 인식, 정신 건강에 좋지 않아[현대건강신문] 오늘날 우리 사회에는 날씬한 몸매에 집중하는 미디어 등의 영향으로 마른 체형에 대한 선호가 도를 넘게 만연해 있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젊은 여성들에게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데, 잘못된 체형 인식은 과도한 식이조절을 야기해 건강을 해치고 생명을 위협하는 수준의 섭식장애까지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최근 잘못된 체형 인식이 육체적 건강 뿐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좋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강남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이용제(오른쪽 사진) 연구팀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시행된‘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정상체중(체질량 지수 18.5~ 22.9)의 여성 대상자 중, 아이를 낳은 경험이 없는 총 717명에게 주관적 체형..

고혈압_당뇨_비만 2016. 8. 25. 20:01

스마트폰 보며 혈압관리하니 흡연·음주량도 줄어

본문 기타 기능분당서울대병원 김주영 교수팀-미국 연구소와 고혈압 환자 6개월 추적 연구 [현대건강신문] 모바일 헬스케어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활용해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하면서 피드백 및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당뇨나 고혈압처럼 질환 특성상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분야에서 특히 많은 관심을 받고있기 때문에 다채로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로 고혈압에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질병치료가 기존 진료 방식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지 무작위 배정 대조군 연구(엄격한 과정을 거치는 임상시험 연구)를 통하여 명확하게 입증된 사례는 많지 않았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김주영 교수팀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혈압관리의..

고혈압_당뇨_비만 2016. 7. 14. 08:46

인터넷이 청소년 비만요인?...학년 올라갈수록 비만 위험 증가

본문 기타 기능[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갈수록 비만 청소년이 늘고 있는 가운데, 장시간 인터넷 이용이 청소년 비만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인터넷 이용시간이 주 600분 이상인 중·고생은 180분 미만인 학생에 비해 비만이 될 위험이 1.4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중·고생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비만 위험이 높아졌는데 특히 입시 부담·스트레스가 큰 고3의 비만 가능성은 중1의 2.4배에 달했다. 가톨릭대 의대 정혜선 교수(예방의학)팀이 질병관리본부가 2014년에 실시한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중·고생 6만9659명 대상) 자료를 토대로 남녀·학력·학년 등 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우리나라 청소년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는 ‘..

고혈압_당뇨_비만 2016. 6. 28. 08:30

한국인 비타민D 결핍 환자 4년 간 10배 증가...우유·표고버섯 도움

본문 기타 기능[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실내생활의 증가로 햇빛이 부족해 비타민D 결핍증을 겪는 환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최근 5년간 심사결정자료를 살펴보면 ‘비타민D 결핍’의 진료인원은 2010년 3118명에서 2014년 3만 1225명으로 4년간 약 3만명이 늘었다. 10배 가량 증가한 셈이다. 진료인원은 매년 평균 77.9%씩 증가했다. 같은 기간 진료비는 2억 9000만원에서 15억 7000만원으로 연평균 52.8%씩 늘었다. ‘비타민D 결핍’ 진료인원은 50대가 가장 많았다. 2014년을 기준으로 50대 24.1%, 40대 18.5%, 60대 13.8% 순으로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2014년 기준으로 진료인원의 대부분이 여성이었다. ..

고혈압_당뇨_비만 2016. 6. 15. 09:48

혈당·체중·심혈관계 위험 낮춘 당뇨병 치료제 ‘자디앙’ 출시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제 2형 당뇨병 치료의 새 패러다임을 제시할 새로운 SGLT-2 억제제가 출시된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과 한국릴리, 유한양행은 23일 제 2형 당뇨병 치료제인 SGLT-2 억제제 자디앙의 국내 출시를 기념하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본격적으로 한국 시장에 출시하는 자디앙의 임상적 유효성 및 당뇨병 치료의 최신 지견을 공유했다. 특히, 다른 SGLT-2 억제제들이 출시돼 있는 상황이지만, 자디앙의 출시가 더욱 의미가 있는 것은 대규모 임상을 통해 심혈관계 안전성을 확인한 치료제라는 것이다.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치료 지견 및 심혈관계 위험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발표한 박철영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심혈관계 질환은 당뇨병 환자의 주요 사망원인으로, 만성질환이 없는 성..

고혈압_당뇨_비만 2016. 5. 24. 09:57

"뚱뚱하면 당뇨 생겨...지방 빼야"

[현대건강신문] 한양대구리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이창범 교수가 지난 20일 경기도 남양주시 북부보건센터 강당에서 지역주민의 건강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건강강좌를 개최했다. 요즘 한국인들은 정부의 질병예방 정책의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건강검진을 쉽고 싸게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당뇨병전단계라는 진단을 받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비만하면 당뇨병이 생긴다는 사실을 이미 의사에게 귀가 아프도록 듣게 된다. 하지만 이 당뇨병전단계 환자가 알아야 할 중요한 사실들이 있다. 이와 관련 이창범 교수는 “체중 감량이 가장 중요한데 주의할 것은 근육을 줄이는 것이 아니고 지방을 줄인다는 사실이며, 당뇨병전단계 환자는 고지혈증, 고혈압, 고요산혈증 등 여러 동반 질환과 함께 관..

고혈압_당뇨_비만 2016. 5. 23. 13:5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250x250

페이징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6
다음
Hnews.kr
푸터 로고 © Hnewskr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