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골대사학회 “50세 이상 고관절 골절환자 1년 내 사망률 2.5배”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로 인해 골다공증 및 이로 인한 골절환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50세 이상 여성10명 중 8명, 남성은 10명 중 5명이 골다공증 또는 골감소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다공증의 경우 골절로 이어져 사회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을 고려해 골다공증에 대한 현행 관리체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한골대사학회는 국회 보건복지위원 김정록 의원과 공동으로 1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골다공증 관리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 발제를 맡은 정호연 대한골대사학회 국제협력위원장(경희의대 내분비내과 교수)는 “골다공증은 뼈가 약해져 쉽게 골절되는 질병으로 골절위험은 뼈의 양과 뼈의 질에 좌우된다”며 “50세 이상의 여성의 경우 노화와 폐경으로 인해 골다공증환자가 증가하고 골절위험도 크게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특히 인구고령화로 인해 골다공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골다공증 치료에 대한 제도적 개선책도 마련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문제는 또 있다. 질병에 대한 심각성이나 경제적 부담에 비해 인지율이 낮다는 것이다.
정 위원장은 “골다공증은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 다른 만성질환에 비해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고 있지만, 질병에 대한 인지율과 치료율이 낮아 큰 문제”라며 “당뇨병 인지율이 73%, 고혈압의 인지율이 67.9%에 이르지만 골다공증 인지율은 22.4%에 불과하고 이 때문에 치료율도 11.1%로 매우 낮다”고 밝혔다.
또한 이러한 낮은 인지율과 치료율이 국가 정책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정 위원장은 “현행의 국가검진 골밀도 검사의 시기와 대상은 만 65세 이상 여성으로 되어있다”며 “골밀도는 치료를 일찍 시작하고 지속할수록 잘 보존이 되는 만큼 여성 55세, 65세, 남성 70세로 세분해 검진을 받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소 치료 기간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미국의 보험 자료 분석을 통해 골다공증 약물 치료 기간에 따른 골절 위험률을 확인한 결과, 대퇴골절 위험이 증가되어 치료를 시작한 경우 최소 3년 간의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정 의원장은 “현행 골다공증 치료의 보험 기준이 치료 기간 1년 이내이거나 1년 후 골밀도 T값이 -2.5이하인 경우, 새로운 골절에 한해 급여가 인정된다”며 “이를 치료 후 T값 -2.5이하인 경우와 최초 치료 시 보험기준에 포함된 경우 최소 3년간 치료를 보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 성창현 과장은 “우리 급여정책이 실제로 만성질환 시대다 하면서도 현장에서 보면 급여 정책이 못 따라 가는 경우가 있다”며 “내년이 5년마다 열리는 국가검진 수립기준 논의가 열리는 해인만큼 효과적으로 현장을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5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