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잘 모르고, 진료시간 짧아" 2차암 관리 소홀

by 현대건강신문 2015. 4. 14. 10:51

본문





[현대건강신문] 국내 암환자의 2차암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결책으로는 의료기관 내 협진이 꼽혔다.

서울대학교병원 암건강증진센터 신동욱 교수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박종혁 교수는 국립암센터와 함께 국내 13개 의료기관 암전문의 486명을 대상으로 2차암 검진 경험과 태도를 조사했다.

2차암은 처음 생긴 암과 무관하게 새롭게 생긴 암이다. 암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몸속에 남아있다 새로운 종양을 만들어 다시 모습을 드러내는 재발과 다르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암전문의 10명 중 7명(76.3%)이 본인의 환자가 2차암이 발생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환자가 2차암이 발생했을 때는 의사로서 당황함(51.9%), 미안함(30.7%)을 느꼈고, 환자들이 수긍하지 못하거나(37.0%) 원망하는 것 같다(25.9%)는 응답도 있었다.

이처럼 2차암은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중요한 문제지만 이번 연구결과, 암전문의 대대수는 우리나라 2차암 관리가 체계적이지 않다고 답했다.

실제 암환자 진료 현장에서 암전문의들은 2차암과 연계된 진료에 소극적이었는데, 진료 시 2차암을 잘 언급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30.9%에 달했다.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만 말한다와 환자가 묻기 전에도 말한다는 각각 28.2%와 39.1%였다. 

2차암 진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원인으로는 △진료시간이 짧아 원발암 외 진료를 하기 어렵다(52.3%)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2차암 검진에 대한 진료지침과 근거 부족(47.7%) △환자가 2차암을 잘 모름(45.1%) △2차암 검진을 위한 시스템 부족(37.7%) △암전문의가 2차암을 충분히 알지 못함(36.2%) △국가암검진과의 연계 부족(33.7%) 순이었다. 

절반 이상의 암전문의들(57.6%)은 이러한 문제의 개선책으로 의료기관 내 협진체계를 구축해 2차암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답했다. 한 의료기관에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기보다 인근병원과 네트워크를 형성해 지역 차원에서 2차암을 관리해야 한다(15.4%)는 응답도 일부 있었다.

박종혁 교수는 “암을 겪었던 암경험자들은 2차암 위험이 일반인보다 20~60%정도 높지만 제대로된 2차암 관리를 받지 못하고 있다” 며 “병원 내 인센티브를 도입하거나 체계적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 2차암 관리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동욱 교수는 “암환자 대부분은 의사가 포괄적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진료시간이 길지 않은 우리나라 의료 현실상 암전문의가 본인의 전문분야를 벗어난 진료를 하기 어렵다” 며 “2차암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암경험자들에게 필요한 예방 및 일차의료를 담당할 의사와의 협진을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고 말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8607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