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학계 출신 인사 검증 항목 1순위인 논문 표절 걸러내지 못해"
일부 대학교수 "10년전에 관례상 가능했을수도, 현재는 거의 불가능"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오른쪽 사진)가 표절 의혹에 휩싸였다.
정 장관 후보자의 이름으로 국내 학술지에 실린 논문이 제자들의 논문과 유사하다는 의혹이 제기됨에 따라 '표절 의혹'이 인사청문회에서 뜨거운 '감자'로 부상할 전망이다.
애초 보건의료계는 의료산업화 전문가인 정 장관 후보자의 원격의료나 의료영리화 추진 전력에 대한 논란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뜻밖에 논문 표절이란 '암초'를 만난 것이다.
내정 사실이 알려지자 일부 야당 의원들은 "분당서울대병원 정진엽 교수를 보건복지부 장관에 내정 한 것은 의료영리화 정책을 거세게 밀어붙이겠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라며 "의료영리화 추진은 국민들의 건강과 생명에 대한 정부의 막중한 책임을 회피하고,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 의료시장에 방치함으로써 제2, 제3의 메르스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것"이라고 우려했다.
야당은 박근혜 대통령이 내정한 정진엽 복지부장관 후보자가 또 표절시비에 휘말린 것은 아직도 현 정부의 인사검증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나섰다.
김정현 수석부대변인은 7일 논평을 통해 "장관 내정자가 학계 출신 인사일 경우 논문 표절문제는 검증 항목 1순위일 텐데 이런 정도도 걸러내지 못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만일 사전에 표절문제가 확인됐는데도 임명절차를 강행했다면 인사권자가 책임질 문제고 정진엽 후보자 역시 학자적 양심으로 사실관계를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김 부대변인은 "정진엽 후보자의 논문표절문제를 놓고 은근슬쩍 넘어가려한다면 의료계는 물론 어느 누가 보건복지행정의 수장 자격을 인정하겠냐"며 "논문표절문제에 대해 사실관계를 신속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 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에 의료계의 반응도 엇갈리고 있다.
한 국립대병원 교수는 "몇 십년만에 의사 장관이 나오게 돼 기대했었는데 생각지도 않은 문제에 휩싸여 아쉽다"며 "관련 의혹에 대해 속히 밝히는 것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국립대병원 교수는 "논문 연구시 근무했던 전공의가 논문 완료 시점에 병원을 떠나거나 스텝에서 빠지는 일이 있는데 이럴 경우 논문 공저에서 빠지는 경우도 있었다"며 "하지만 최근에는 이런 일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30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