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산 국제회의로 에볼라 확산 우려 속 '방역 사각' 존재

정책_건강

by 현대건강신문 2014. 10. 2. 17:50

본문



▲ 에볼라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국제적인 관심을 끌었던 8월 국회에서 열렸던 긴급간담회에 참석한 권준욱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프랑스에서 거주하던 사람이 에볼라 바이러스 발병지역에 머문뒤 다시 프랑스로 간 뒤 일주일 있다가 한국을 방문할 경우 확인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4637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오는 10월 20일부터 부산에서 열리는 '국제 전기통신연합' 전권회의를 앞두고 에볼라 확산에 대한 국내 여론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권회의에 참석하는 해외 참가자 중에 에볼라 발생국인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기니 대표들도 포함돼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행사를 주최하는 미래창조과학부는 외교 관례상 입국자들을 막을 수 없어 방역 시스템을 강화하는 방법을 모색중이다.


이런 가운데 보건당국 관계자가 해외 입국자 중 '방역 사각'이 존재한다고 간담회에서 밝혀 관심을 끌고 있다.


에볼라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국제적인 관심을 끌었던 8월 국회에서 열렸던 긴급간담회에 참석한 권준욱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프랑스에서 거주하던 사람이 에볼라 바이러스 발병지역에 머문뒤 다시 프랑스로 간 뒤 일주일 있다가 한국을 방문할 경우 확인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보건당국은 에볼라 바이러스가 발병한 지역에서 우리나라로 직접 입국하는 해외입국자들에 대한 파악은 가능하지만 에볼라 바이러스 발병지에서 또 다른 국가에 잠시 체류한 다음 국내로 입국하는 입국자들에 대한 추적 확인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권 정책관은 "4개국을 거치는 경우 자진해서 (입국자가) 말하지 않는 이상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에볼라 바이러스 잠복기가 21일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짧은 기간 동안 4개국을 거친 체류자가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입국해도 보건당국이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이다.


한편 지난달 30일 미국에서도 첫번째 에볼라 바이러스 환자가 발생했지만 미국 방역당국은 이 환자를 제 때 격리조치하지 못해 의심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