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전 대표를 역임했던 안철수 의원이 23일 열린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의 자진사퇴를 요구했다.
안 의원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에 대한 정부의 초동 대응에 4대 실책이 있으면서 초기에 진화할 수 있었던 큰 기회를 4차례나 연속해서 놓쳤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4가지 실책으로 △감염병 관리 기본원칙도 지키지 않았던 '한심한' 대응 △메르스 발생 1년 전, 병원감염 확산에 대한 경고를 무시한 '안이한' 대응 △국가방역관리망이 뚫린 후에도 총력대응에 나서지 않은 '늑장' 대응 △삼성서울병원에서 평택성모병원의 실수를 되풀이 등을 꼽았다.
안 의원은 "상위지침인 '감염병 위기관리 표준메뉴얼'에는 '심각단계'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나와 있지만 정부는 밀접접촉자 최소화 등 매우 소극적 대응을 했다"고 지적했다.
1년전인 2014년 3월 사우디에서 메르스가 발병했을때 병원 감염 확산에 대한 경고가 나왔다. 2014년 5월 메르스 전문가 자문회의에서 에어로졸(공기감염)에 의한 강염을 막기 위한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안 의원은 "지난달 28일 격리자범위 밖에서 메르스 환자가 발생해 국가방역관리망이 뚫렸음에도 정부는 총력 대응에 나서지 않았다"며 "최소한 이때부터 대통령이 나서 범정부 차원의 대응 체계 마련을 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대정부질문 마지막에 안 의원은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기 위한 환자관리 컨트롤 타워 구성하고 보건의료는 물론, 국가안보 차원의 국가방역시스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30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