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항우울제, 정신병 만병통치약처럼 쓰여

약_건강

by 현대건강신문 2015. 3. 31. 09:43

본문





신경안정제 가장 많이 쓰는 진료과 내과...정신과 2.5% 불과

우울조울병학회 "제도 미비와 진료과 이기주의로 환자 위험"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우울증 등 정신병 치료에 사용되는 신경안정제와 항우울제가 정부의 제도적 미비와 진료과 이기주의로 오남용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우울증이란 우울감, 의욕저하, 흥미 상실, 수면장애 등을 주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 증상을 일으켜 일상생활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을 말한다.

우울증은 일시적인 우울감과는 다르며 개인적인 의지로 없앨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치료를 필요로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우울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07년 47만6천명에서 2011년 53만5천명으로 늘어났다.

대한우울조울병학회는 증가하는 우울증 환자에게 치료제로 사용되는 항우울제와 신경안정제가 남용되고 있다는 입장이다.

한림대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덕인 교수(우울조울병학회 학술이사 오른쪽 사진)는 "우리나라는 자살률 1위 국가인데 자살의 원인 1위가 우울증"이라며 "이렇게 증가하는 우울증 환자에게 항우울제만 던져주는 치료가 진행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통상 학계에 알려져 있는 항우울제에 대한 반응은 40% 정도이다. 나머지 60% 환자는 항우울제를 먹어도 치료가 되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이다.

전 교수는 "우울증의 이상적인 치료법은 항우울제와 정신 치료를 동시에 하는 것"이라며 "정신과의사와 심층적인 상담 결과 약물치료가 필요한 시점인지를 구분해야 하는데 현재는 그렇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신과 치료제를 복용하는 것을 모른 채 먹는 환자들도 있다는 충격적인 지적도 나왔다. 

그는 "내과 등 일부 진료과에서 몸이 안좋고 기분이 불편하다는 환자에게 항우울제를 처방하는 경우가 있다"며 "연구에 따르면 신경안정제를 가장 많이 처방하는 진료과가 내과로 전체 처방의 23% 달하고 신경외과도 5%이지만 정작 정신건강의학과는 2.5%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우울조울병학회는 정확한 진단에 따른 항우울제나 신경안정제를 복용할 경우 의존성 즉 '중독' 증세를 보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원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상열 교수는 "조증 환자에게 우울증 치료제인 항우울제를 처방할 경우 경과가 나빠질 수 있다"며 "미국에서는 이럴 경우 항우울제(SSRI)를 처방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연구 결과를 보면 극단적으로 자살을 시도하는 집단이 양극성 환자들"이라며 "우울증을 겪는 환자인지, 우울 증세가 있는 환자인지, 자살 위험이 있는 양극성 환자인지 깊은 면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울증이나 양극성 장애를 잘못 진단해 적절치 않은 치료약이 처방됐을 경우 증세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한 이 교수는 "항우울제를 처방한 뒤 환자의 경과가 나빠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양극성장애로 발전할 수 있다"며 "미국에서는 항우울제를 주의해서 사용하라는 권고가 있다"고 말했다.

우울증 환자가 위험한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을 치료할 제도적인 뒷받침은 부족하다.

상급종합병원 지정 기준에 정신질환을 치료할 진료과를 필수적으로 갖춰야 한다는 규정이 없어 이들 병원에서 정신질환에 소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 교수는 "상급종합병원에서 정신건강의학과를 축소시키고 (민간) 보험에서 정신질환자를 기피하는 것은 정신건강을 가볍게 본 결과로 제도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처럼 항우울제, 항불안제가 오남용 되는 나라는 없다"며 "항불안제, 신경안정제를 많이 복용하면 중독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보건당국에서 항우울제 처방이 적절한지 관리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남용 우려에 대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관계자는 “암 환자나 만성질환자가 전반적으로 몸이 쳐질 때 항우울제, 신경안정제를 처방하는 알고 있다”며 “이들 약제를 장기 처방할 경우 부작용 우려가 있어 횟수를 제한하고 있다”고 밝혔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8299


관련글 더보기